목록새 (28)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청둥오리 학명 Anas platyrhynchos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한 새. 몸길이 50~60센티미터 가량으로, 수컷의 머리와 목은 광택 있는 녹색이며 가슴은 진한 자갈색이고 꽁지깃은 백색이다. 부리는 아름다운 황색을 띠고 있는데,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져 있다. 무리져서 ‘V’ 자 모양을 이루고 날며, 풀씨와 나무 열매, 곤충류 따위를 잡아먹는 잡식성(雜食性)이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새로 대표적인 사냥새이기도 하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북반구에 분포한다 당현천(2020.11.30)

까치 참새목 까마귓과에 속한 새. 어깨, 배, 허리는 희고, 머리에서 등까지는 광택이 있는 검은색을 띠며 암수가 같은 빛깔이다. 둥지를 중심으로 한곳에 사는 텃새로서, 촌락 가까운 큰 나무 위에 산다. 봄에 암갈색 반점이 있는 담녹색의 알을 5~6개 낳는다. 잡식성 으로 나무 열매나 곡물, 해충 따위를 먹는다.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유라시아 대륙 중위도 지대의 전역, 북아프리카, 북아메리카의 서부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Pica pica이다 (당현천 2020.11.30)

직박구리 직박구릿과에 속한 새. 몸길이 20센티미터 정도이며, 회갈색 등을 가지고 있다. 회색 바탕의 가슴에 흰 반점이 있으며 배는 희다. 봄에는 산에 살다가, 가을부터는 인가로 내려와 겨울을 난다. 우리나라, 일본, 대만, 필리핀 등지에서 번식하며 5~6월에 네다섯 개의 알을 낳는다. 학명은 Ixos amaurotis이다 불암산(2020.11.26)

왜가리 백로과에 속한 새. 몸길이는 1미터 정도이고, 등은 회색, 배는 흰색이며 머리에는 검은 줄이 눈에서 목덜미까지 댕기를 이루고 있다. 작은 연못이나 습지 근처의 숲이나 나무에 둥지를 만들고 살며 개구리나 어류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4~5월이 산란기이며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학명은 Ardea cinerea이다. 당현천(2020.11.28)

박새 참새목 박샛과에 속한 새. 몸길이는 14센티미터 정도이며, 머리와 목은 푸른빛이 도는 흑색이고 뺨은 백색, 등은 회색이다. 한배에 6~12개의 알을 낳으며 산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텃새이다.우리나라, 중국, 일본, 사할린 등지에 분포한다. 학명은 Parus major이다 노원(2020.11.26)

청둥오리 학명 Anas platyrhynchos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한 새. 몸길이 50~60센티미터 가량으로, 수컷의 머리와 목은 광택 있는 녹색이며 가슴은 진한 자갈색이고 꽁지깃은 백색이다. 부리는 아름다운 황색을 띠고 있는데,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져 있다. 무리져서 ‘V’ 자 모양을 이루고 날며, 풀씨와 나무 열매, 곤충류 따위를 잡아먹는 잡식성(雜食性)이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새로 대표적인 사냥새이기도 하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북반구에 분포한다 당현천(202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