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대극과 (12)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포인세티아 대극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는 잎은 피침 모양으로 돌려나는 것처럼 보이고 짙은 붉은색ㆍ흰색을 띠며 꽃잎처럼 보인다. 꽃은 가지 끝에 10여 송이가 모여 달리고, 직경 5~6mm이다. 관상용이고 성탄절 장식에 쓰인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온실에서 자란다. 노원(2020.11.21)

설악초(snow-on-the-mountain) 학명 : marginata Pursh 개화시기 : 7월~8월 원산지 : 미국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다육식물.미국 중부의 평원이 원산지이다. 키가 60㎝까지 자란다. 잎은 연녹색으로 긴 타원형이며 줄기 끝에 달린 잎은 가장자리가 하얗다. 잎처럼 생긴 몇몇 포가 줄기 끝에서 돌려나는데, 이 포들도 흰색을 띠며 무리져 있다. 뜰에 1년생으로 심거나 꽃꽂이의 재료로 써왔는데,이 식물에 함유된 하얀 유액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있다. 노원(2020.11.26)

오채각(五彩閣) 학 명 : Euphorbia ingens 과 명 : 대극과 원산지 : 남서 아프리카 형 태 : 자생지에서는 키가 수m 이상 된다. 줄기는 4~5릉으로 6~7cm이다. 가시는 적갈색으로 크다. 많은 변종이 있다. 줄기색은 녹색이고 모서리에는 가시가 있으며 장타원형의 잎이 나있다. 줄기나 잎에 상처를 주면 우유 같은 흰색의 즙액이 나온다. 고온다습한 상태를 좋아한다. 식물분류학상 선인장보다는 다육식물로 분류한다. 물주기 : 물을 줄 때는 충분히 주고 다음번 물을 줄 때까지 흙을 완전히 말린 다음 관수한다. 오처각이라고도 한다

포인세티아 대극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2~3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넓은 피침 모양이다. 가지와 원줄기 끝에 달리는 잎은 피침 모양으로 돌려나는 것처럼 보이고 짙은 붉은색ㆍ흰색을 띠며 꽃잎처럼 보인다. 꽃은 가지 끝에 10여 송이가 모여 달리고, 직경 5~6mm이다. 관상용이고 성탄절 장식에 쓰인다. 멕시코와 중앙아메리카가 원산지로 온실에서 자란다.

설악초(snow-on-the-mountain) 학명 : marginata Pursh 개화시기 : 7월~8월 원산지 : 미국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다육식물.미국 중부의 평원이 원산지이다. 키가 60㎝까지 자란다. 잎은 연녹색으로 긴 타원형이며 줄기 끝에 달린 잎은 가장자리가 하얗다. 잎처럼 생긴 몇몇 포가 줄기 끝에서 돌려나는데, 이 포들도 흰색을 띠며 무리져 있다. 뜰에 1년생으로 심거나 꽃꽂이의 재료로 써왔는데,이 식물에 함유된 하얀 유액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있다.

설악초(snow-on-the-mountain) 학명 : marginata Pursh 개화시기 : 7월~8월 원산지 : 미국 대극과(Euphorbiaceae)에 속하는 다육식물.미국 중부의 평원이 원산지이다. 키가 60㎝까지 자란다. 잎은 연녹색으로 긴 타원형이며 줄기 끝에 달린 잎은 가장자리가 하얗다. 잎처럼 생긴 몇몇 포가 줄기 끝에서 돌려나는데, 이 포들도 흰색을 띠며 무리져 있다. 뜰에 1년생으로 심거나 꽃꽂이의 재료로 써왔는데,이 식물에 함유된 하얀 유액에 알레르기 반응을 나타내는 사람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