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비름과 (11)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촛불맨드라미 학명 : Celosia cristata 'Fiery Feather' 원산지 : 열대 아시아 분포지 : 열대 아시아, 한국 등 비름과의 한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90cm 정도이고 곧고 붉은색을 띠며,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다. 7~8월에 닭의 볏모양의 붉은색, 노란색, 흰색 따위의 아름다운 꽃이 피고 열매는 개과이다. 꽃은 지사제로 쓰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열대 아시아가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노원(2020.11.25)

맨드라미(계관화,鷄冠花)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비름과의 한해살이 풀.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씨앗은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왜성종, 중생종, 고성종이 있고 꽃의 색상은 붉은색, 주황, 노랑, 분홍 등이 있으며, 꽃의 모양은 주먹형, 촛불형 등으로 나뉜다. 봄에 파종하고, 여름에 개화한다. 꽃은 강원도에서 전을 부칠때 고명으로 올리기도 한다. 이 꽃의 이름 "맨드라미"는 曼陀羅華’(Mandarava)라는 범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초기에는 '만다라'라고 불리다가 맨드라미로 변형되어 굳혀졌다. 꽃의 모양이 닭의 벼슬과 닮았다고 하여 '닭의볏' 혹은 '의볏'으로도 불렸으나, 현재는 경상방언의 '달구비슬'처럼 사투리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표현으로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한자로는 鷄冠花(계관화..

천일홍(globe amaranth) 학명 : Gomphrena globosa 원산지 : 열대아메리카 개화시기 : 7월 - 10월 꽃말 : 매혹, 변하지 않는다, 변치않는 사랑 비름과(Amaranthaceae)에 속하는 관상용 원예식물. 구대륙 열대지역이 원산지이다. 키작은 1년생 식물로 토끼풀 같은 꽃이 빽빽하게 무리지어 피는데, 꽃은 드라이플라워로 쓰이기도 한다. 꽃은 꽃잎이 없고, 대신 긴 줄기에 붉은색·분홍색·오렌지색· 흰색의 포가 달린다. 꽃색이 오랫동안 변하지 않으므로 천일홍이라고 부른다. 여름에 절화용(切花用) 또는 건조화(乾燥花)로 이용된다.

쇠무릎 학명 : Achyranthes japonica 쇠무릎지기·우슬(牛膝)이라고도 함 비름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50~100cm이며, 줄기는 가지가 많고 마디가 두드러진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다. 8~9월에 연한 녹색 꽃이 수상(穗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포과(胞果)로 겉에 가시가 있어서 사람의 옷에 잘 붙는다. 뿌리는 임질약, 강장제, 이뇨제, 해열제 따위로 쓰고, 줄기와 잎은 독사에 물렸을 때 해독약으로 쓴다.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히말라야 등지에 분포한다 노원(2020.11.28)

맨드라미(계관화,鷄冠花)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비름과의 한해살이 풀.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씨앗은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왜성종, 중생종, 고성종이 있고 꽃의 색상은 붉은색, 주황, 노랑, 분홍 등이 있으며, 꽃의 모양은 주먹형, 촛불형 등으로 나뉜다. 봄에 파종하고, 여름에 개화한다. 꽃은 강원도에서 전을 부칠때 고명으로 올리기도 한다. 이 꽃의 이름 "맨드라미"는 曼陀羅華’(Mandarava)라는 범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초기에는 '만다라'라고 불리다가 맨드라미로 변형되어 굳혀졌다. 꽃의 모양이 닭의 벼슬과 닮았다고 하여 '닭의볏' 혹은 '의볏'으로도 불렸으나, 현재는 경상방언의 '달구비슬'처럼 사투리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표현으로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한자로는 鷄冠花(계관화..

맨드라미(계관화,鷄冠花)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비름과의 한해살이 풀. 주로 관상용으로 쓰이며 씨앗은 한방에서는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왜성종, 중생종, 고성종이 있고 꽃의 색상은 붉은색, 주황, 노랑, 분홍 등이 있으며, 꽃의 모양은 주먹형, 촛불형 등으로 나뉜다. 봄에 파종하고, 여름에 개화한다. 꽃은 강원도에서 전을 부칠때 고명으로 올리기도 한다. 이 꽃의 이름 "맨드라미"는 曼陀羅華’(Mandarava)라는 범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초기에는 '만다라'라고 불리다가 맨드라미로 변형되어 굳혀졌다. 꽃의 모양이 닭의 벼슬과 닮았다고 하여 '닭의볏' 혹은 '의볏'으로도 불렸으나, 현재는 경상방언의 '달구비슬'처럼 사투리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표현으로 표준어로는 인정되지 않는다. 참고로 한자로는 鷄冠花(계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