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당현천 (31)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당현천 고복수 황금심 부부상 1930년대 부터 1960년대 까지 일제 강점기와 6.25동란등을 거치면서 왕성하게 활동하였던 고복수와 황금심은 대중음악사에 큰 족적을 남긴 우리나라 최초의 스타부부 가수였다. 당현천(2020.11.28)

왜가리 백로과에 속한 새. 몸길이는 1미터 정도이고, 등은 회색, 배는 흰색이며 머리에는 검은 줄이 눈에서 목덜미까지 댕기를 이루고 있다. 작은 연못이나 습지 근처의 숲이나 나무에 둥지를 만들고 살며 개구리나 어류 등의 작은 동물을 잡아먹는다. 4~5월이 산란기이며 한 번에 3~5개의 알을 낳는다. 학명은 Ardea cinerea이다. 당현천(2020.11.28)
잉어 학명 :Cyprinus carpio 잉엇과에 속한 민물고기. 몸길이는 일정하지 않아 큰 것은 1미터인 것도 있으며, 몸은 방추형(紡錘形)으로 약간 납작하다. 등이 검푸르고 배는 담황색이며, 주둥이는 둔하고 입가에 두 쌍의 수염이 있다. 잡식성으로 강이나 연못 등지에 살며, 맛이 좋아 양식하기도 한다. 남미와 오스트레일리아, 마다가스카르 섬을 제외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당현천 잉어(2020.11.28)

당현천 물넘이교 노원구 중계동 472번지와 상계동 184번지 사이 당현천에 있는 다리이다. 비 오면 물이 넘쳐 흘러 물넘이교라고 하였다. 비대칭 사장교인 물넘이교는 예술적 조형미와 안전성을 추구한 교량 으로 당현천의 품격을 한 단계 높여 주었다

청둥오리 학명 Anas platyrhynchos 기러기목 오릿과에 속한 새. 몸길이 50~60센티미터 가량으로, 수컷의 머리와 목은 광택 있는 녹색이며 가슴은 진한 자갈색이고 꽁지깃은 백색이다. 부리는 아름다운 황색을 띠고 있는데, 암컷은 갈색으로 얼룩져 있다. 무리져서 ‘V’ 자 모양을 이루고 날며, 풀씨와 나무 열매, 곤충류 따위를 잡아먹는 잡식성(雜食性)이다.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겨울새로 대표적인 사냥새이기도 하다.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지의 북반구에 분포한다 당현천(2020.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