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콩과 (8)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박태기나무 학명 : Cercis chinensis 콩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5미터이다. 잎은 둥글고 아랫부분이 심장 모양이며, 끝은 뾰족하고 거의 가죽질인데 잎자루가 길다. 4월에 붉은 자주색의 나비 모양 꽃이 몇 개씩 모여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길이 6cm 정도 되는 타원형의 협과(莢果)를 맺는다. 줄기는 약용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사원(寺院)이나 인가 부근에 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노원(2020.10.28)

아까시나무 학명 : Robinia pseudoacacia 원산지 : 북아메리카 서식장소 : 산과 들 콩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20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우상 복엽이다. 5~6월에 흰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향기가 강하며 열매는 평평한 협과(莢果)로 5~10개의 종자가 들어 있다. 꽃에서 꿀을 채취하며 북미가 원산지이다 중랑천(2020.11.27)

갈퀴나물 학명 : Vicia amoena 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잔잎은 긴 타원형이다. 6~9월에 자주색 나비 모양의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협과(莢果)로 가을에 익는다. 어린잎과 줄기는 가축의 사료로 쓴다. 들에서 자라는데 우리나라 각지에 분포한다 김천(2020.11.25)

제비콩(까치콩,편두) 편두는 콩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거나 한해살이풀이다. 원산지는 남아메리카 열대지방이다. 편두라는 이름은 콩이 납작하다고 해서 붙었다. 다른 콩이나 팥에 비해 편두의 단면은 길다랗게 보일 만큼 납작하다. 제비콩·까치콩이라고도 부른다. 원산지와 달리 한국에서는 한해살이풀이다

족제비싸리 학명 : Amorpha fruticosa 과명 : 콩과 개화시기 : 5월 - 6월 원산지 : 북아메리카 분포 : 한국,미국 콩과의 낙엽 관목. 줄기는 높이가 1~4미터이며 잎은 우상 복엽으로 어긋나고 잔잎은 알 모양 또는 타원형이다. 5~6월에 줄기나 가지 끝에 자줏빛 꽃이 이삭 화서로 피며 열매는 협과이다. 줄기와 가지는 광주리 따위를 만드는 데 쓰며 어린잎은 가축의 먹이로 쓴다. 북미 등지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