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화초기르기 (98)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산데리아 화이트 전자파 차단효과, 다른식물보다 30배이상 공기 청정 효과. 반그늘에서도 잘자라며, 물은 2~3일에 한번씩 준다. 화초기르기(2020.12.12)

서향(천리향) 학명: Daphne odora 과명 : 팥꽃나무과 개화기: 3월, 4월 생육온도 : 15-25 월동온도 : -5℃ 물주기 : 겉흙이 마르면 충분히 준다. 혹은 잎을 자주 만져보면 물이 필요한 시기에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잎이 부드럽고 처지는 느낌이 들 때 물을 준다. 팥꽃나뭇과의 상록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인데 두껍고 광택이 난다. 3~4월에 흰색 또는 붉은 자주색 꽃이 두상 꽃차례로 전년생의 가지 끝에 모여 피나, 대개 수나무라 열매를 맺지 못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지방에서 재배한다 화초기르기(2020.12.12)

만데빌라(Mandevilla) 과명: 협죽도과(Apocynaceae) 학명: Mandevilla 브라질이 자생지인 목본성 관화식물. 붉은 꽃이 화려하고 매력적인 덩굴식물로 자생지에서는 년중 개화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기후조건이 유사한 5-9월에 개화한다. 완전양지식물로 성장을 위해서는 햇빛(강한 직사광)이 필수이다. 화분은 성장기(5-9월)는 실외에서 기르는게 좋으나 여건상 안되면 베란다등 집안에서 최대한 햇빛이 잘드는 곳에 둔다. 물을 아주 좋아하는 식물이 아니다. 물은 보통수준으로 약간 건조하게 관리한다. 화분위 흙이 완전히 마른 다음에 물을준다. 겨울에는 휴면 시키지 않으려면(5-8도 정도에서는 휴면)10도 이상으로 관리하고 쑥쑥 잘자라는 생육적온은 20-30도이다 화초기르기(2020.12.12)

클레로덴드럼 톰소나에 학명 : Clerodendrum thomsonae 과명 : 마편초과 영명 : Bleeding glory bower 원산지 : 열대~아열대 개화기 : 초여름 마편초과의 관엽 식물. 키는 2~5미터이고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덩굴성 관목이다. 잎은 마주나며, 모양은 타원상 계란형으로 끝이 뾰족하다. 5~6월에 하얀 오각형의 꽃받침 속에서 진홍색 꽃이 핀다. 반그늘을 좋아하고 16~30℃에서 잘 자라며, 10~13℃에서 월동한다. 늦봄에서 초여름 사이에 꺾꽂이로 번식한다. 원예종으로도 개발되어 화분에서 키우는 경우도 많다. 서아프리카 및 중앙아프리카가 원산지이다 화초기르기(2020.12.12)

동백나무[冬柏-] 과명 : 차나뭇과의 상록 활역 교목 학명 : Camellia juponica 별명 : 산다 개화기 : 3~4월 최적온도 : 16~20°C 꽃색 : 빨간색. 흰색 꽃말 : 겸손한 아름다움 비료정보 : 많이 요구함 (유기물이 풍부, 성장기간동안 산성비료 2주에 1번) 빛요구도 : 높은 광도(1,500~10,000 Lux) 요구되어 거실 창측이나 발코니에서 키우는 것이 좋음 물주기 : 봄,여름,가을에는 토양 표면이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하고 겨울에는 화분 흙이 대부분 말랐을때 충분히 관수함 화초기르기(2020.1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