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국화과 (52)
이전 - 티스토리 은하수(銀河水)의 블로그

참취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5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인데 끝이 뾰족하고 가에 톱니가 있다. 8~10월에 흰 꽃이 산방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를 맺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성숙한 잎은 약용한다. 산과 들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삼잎국화 학명 : Rudbeckia laciniata L 개화시기 : 7월 - 9월 원산지 : 북아메리카 꽃말 : 밝다, 고상하다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2미터 정도이며, 잎은 흔히 세 갈래로 갈라진다. 7~9월에 줄기 끝에 노란색 두상화가 핀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기도 한다.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기생초(妓生草) 학명 : Coreopsis tinctoria 원산지 : 북아메리카 개화시기 : 7월 -10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또는 두해살이풀. 높이는 30~100cm이며, 잎은 마주난다. 7~10월에 가운데는 붉고 둘레는 갈색 무늬가 있는 노란 두상화가 핀다. 관상용이고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미국미역취(美國-) 학명 : Solidago serotina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1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바늘 모양이다. 8~9월에 누런 두상화(頭狀花)가 원추(圓錐) 화서로 핀다. 관상용이고 미국이 원산지이다

숙근아스타(Aster) 학명 : novae-angliae 과명 : 국화과 숙근아스타는 국화과 Aster속 숙근초의 총칭. 1년초 아스타인 과꽃(Callistepus)과 구별하고 있다. 개화조절, 번식 및 재배가 용이하고 병충해도 적다. 꽃은 두상화서로서 위에서부터 피어 내려온다

미국쑥부쟁이 학명 : Aster pilosus Willd. 과명 : 국화과(Compositae) 원산지 : 북아메리카 개화시기 : 9월 -10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0.3~1.0미터이고, 잎은 3~10cm의 송곳 모양으로 한 가지에 여러 개가 달리며 아래 잎은 주걱 모양으로 털이 있다. 열매는 짧은 털이 나 있으며 9~10월에 피는 꽃은 노란 관모가 있다. 우리나라의 춘천시, 중부 지방과 남부 지방에서 발견된다. 북아메리카에서 유입된 외래 식물로 생태계 교란 생물이다.